아두이노(Arduino) 개발환경 구성하기 및 준비물

코드도사에서는 소형 임베디드 장치 개발 환경인 아두이노(Arduino)에 대하여 소개를 드린적이 있습니다. 아두이노는 Atmel사의 CPU가 탑재된 Microcontroller 인데요, 개발자 뿐만 아니라

더 읽기

소형 IoT 장치 개발 도구인 아두이노 & 아두이노 IDE 소개

라즈베리파이와 더불어 아두이노(Arduino)는 IT 업계에서 오픈소스 플렛폼으로 매우 유명한 플렛폼 중에 하나입니다. 라즈베리파이가 32 bit 고성능 ARM Core 기반의 임베디드

더 읽기

SW 개발시에 영어가 중요할까?

당신은 “영어”를 얼마나 잘 할 수 있습니까?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공식적으로 쓰이는 언어는 “영어”입니다. 주로 영국, 미국, 호주 등지에서 쓰이며

더 읽기

SW 개발은 취미가 될수 있다? SW 개발을 즐기는 방법

프로그래밍을 직업으로 삼는 것은 꽤나 흥미로운 일입니다. 매일같이 사무실의 PC앞에서 문자 하나하나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짜는 것은 재미있고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.

더 읽기

OpenWRT를 라즈베리파이 3 B+에 올려보기

코드도사에서는 오픈소스 라우터 개발환경인 OpenWRT에 대하여 소개해 드린적이 있습니다. 소개와 함께 OpenWRT를 올릴 타켓 디바이스를 라즈베리파이3로 설정하여 컴파일까지 진행을 해봤는데요,

더 읽기

라즈베리파이를 어디에 활용할까?

이 글을 쓰는 와중에 라즈베리파이 4 가 드디어 출시되었다는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. 코드도사에서 라즈베리파이 3 B+ 모델에 대한 리뷰를

더 읽기

임베디드 리눅스(Embedded Linux)의 개념

코드도사에서 포스팅 한 내용중에서 프로그래머의 종류를 보면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머로 분류된 프로그래머가 있다고 소개를 해 드렸습니다. 그렇다면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머는

더 읽기

코딩 및 개발시에 필요한 PC의 성능은? 개발과 PC 성능에 대해 알아보자

코딩 및 개발할때 필수로 갖춰야 할 도구가 있습니다. 바로 PC(Personal Computer)입니다. PC는 데스크탑 PC와 노트북으로 나뉩니다. 최근 들어서 모바일의 대중화로

더 읽기

리눅스 개발 환경 구축하기 (우분투 기반)

리눅스는 다양한 용도로 쓰입니다. 네트워크 서버, 데스크탑 PC, 개발, 임베디드 장치/장비 등등 활용 범위가 꽤 넓은 만능 OS라고 보면 되겠습니다.

더 읽기

라즈베리파이를 외부에서 SSH 접속 및 원격 Remote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는법

코드도사에서는 라즈베리파이(라즈비안)를 SSH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적이 있습니다. 라즈베리파이 3 B+ 모델의 WiFi 혹은 LAN을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킨

더 읽기